[컴][네트워크] 라우팅 프로토콜

routing protocol / router / 라우팅 프로토콜  / 어떻게 패킷이 가는가 / 네트워크 알고리즘


라우팅 프로토콜

routing protocol은 3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.
  1. routing table 을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 분류
  2. 내부 network에서 routing을 담당하느냐에 따른 분류
  3. routing table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른 분류

routing table 을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 분류

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(static routing protocol)

  • 사람이 직접 손으로 routing table(라우팅 테이블)을 만드는 것이다.
  •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, 다시 사람이 고쳐주지 않는 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.

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(dynamic routing protocol)

  • 라우터가 알아서 routing table을 만들어 준다.
  • 경로 이상 시 알아서 다른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.
  • 하지만 라우터의 부담이 가중된다.
  • RIP, IGRP, OSPF, EIGRP 등이 있다.

내부 network에서 routing 을 담당하느냐에 따라

  • IGP(Interior Gateway Protocol)
  • EGP(Exterior Gateway Protocol) 로 나눌 수 있다.
같은 관리자의 관리 하에 있는 라우터의 집합을 AS(Autonomous System)라고 하는데,
Autonomous System 내에서 사용되는 router 의 protocol 이 IGP이다. RIP, IGRP, EIGRP, OSPF 이 여기에 속한다.
그리고 AS와 다른 AS 사이에서 사용되는 router의 protocol이 EGP이다. BGP, EGP 이 여기에 속한다.


routing table을 어떻게 관리하는 가에 따라

  • 디스턴스 벡터 알고리즘(Distance Vector Algorithm)을 사용하는 프로토콜,
  • 링크 스테이트 알고리즘(Ling State Algorithm)을 사용하는 프로토콜
DVA 는 routing table 에 목적지까지 가는데 필요한 거리와 방향만을 기록. RIP와 IGRP가 대표적이다
LSA 는 라우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SPF(Shortest-Path-First) 알고리즘이란 것을 통해 routing table에 기록. OSPF가 대표적이다.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